프리뷰
리뷰
특집
인터뷰
핫이슈
해외리포트
희곡
연극소식
정책
지역소식
국내축제
해외축제
이달의연극
캐스팅
오디션
공모전
오디션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정기구독
Integrated Search
통합 검색
ALL
프리뷰
리뷰
특집
희곡
연극소식
이달의연극
캐스팅
공모/오디션
공지사항
어린이 : 어둠,
세계
, 극장, 함께
<왜 태어났니>“안녕! 언니, 오빠, 형, 누나, 아저씨, 아줌마, 이모, 삼촌들. 왜 태어났어요” 최근 공연한 어린이 연극 <왜 태어났니>의 첫인사다. 하필이면 연극하는 엄마를 두어서 내 뱃속의 아이는 무대에서 들리지도 않는 대사를 외친다....
특집
글_원지영(원의 안과 밖 연출가)
2025.05.01
신작 발굴과
세계
극장 교류의 현장, 하이델베르크 연극축제 2025
하이델베르크 슈투켄마르크(Heidelberger Stückenmarkt)독일의 새로운 희곡을 발굴하고, 외국국가를 초대하여
세계
공연의 흐름을 살피는 연극축제인‘하이델베르크 슈투켄마르크(Heidelberger Stückenmarkt)는 1984년부터...
연극소식
글_래이 리(오페라 연출가)
2025.05.01
떨어져도, 다시 튀어오르는 힘. 스튜디오 42 <연극 합체>
일시 5월 22일(목)~5월 25일(일) 평일7시반, 주말3시 장소 삼일로창고극장원작 박지리 각색∙연출 박소영 출연 박윤선, 이준경, 김범진(목소리) 문의 02-...
프리뷰
글_박소리 기자
2025.05.01
부조리와 사회고발, 그리고 치유와 회복으로서의 연극
해마다 3~4월이 되면 대한민국 신춘문예 페스티벌을 기다리는 이들이 많다. 나도 그들 중 한 명이다. 이유는 다양하다. 새로운 작가의 등장에 대한 기대감과 설레임 너무 당연한 얘기다. 단막극 공연을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이유도 크다. 짧은 기간에 10편 가까운 단막극 공연을 집중...
리뷰
글_이성곤(연극평론가)
2025.05.01
장애를 바라보는 엇갈린 시선, 돌봄으로 화합하다. (재)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크리에...
전
세계
적으로 선천적 장애보다 질병이나 사고 등으로 인한 후천적 장애의 비율이 절대적으로 크다. 우리의 경우, 장애노인(54.3%) 포함 후 천적 장애의 비율이 88%에 이른다. 장애를 나와 무관한 일이라고 자신 할수 없는 것이 분명한 현실이다. 그럼에도 장애라는 단어에는 이...
리뷰
글_이은경(연극평론가)
2025.05.01
연극예술의 방식, 족구와 아이러니의 미학. 창작집단 오늘도 봄 <예술적 예술>
채수욱 연출가는 창작집단 ‘오늘도 봄’의 대표로, 다양한 연극 형식을 무대 위에서 꾸준히 탐구해 오며〈Be〉, 〈창밖의 여자〉, <백치로봇 아다다>, <아카이빙, 이재진을 말하다〉등 여러 작품을 연출해 왔다.〈예술적 예술〉(서울...
리뷰
글_김건표(연극평론가)
2025.05.01
아이들의 눈으로 보니 쉽게 해독되는 이상의 난해시. 공놀이클럽 <이상한 어린이연극 오...
2016년 전국 지자체 최초로 설립된 종로의 어린이 전문 공연장 ‘아이 들극장’에서 종로를 대표하는 시인 이상의 시「오감도」를 어린이 배우 들과의 공동창작을 통해 <이상한 어린이연극 오감도-13인의 아해가 종로를 질주하오>(강훈구 구성 연출, 4월 25일~...
리뷰
글_김기란(연극평론가)
2025.05.01
각색과 변주, 폭풍우의 마법 사이에서. 충북도립극단 <한 여름밤의 템페스트>
작년 충북도립극단(예술감독 김낙형) 창단공연이기도 했던, <한 여름밤 의 템페스트>가 4월 18일, 19일 양일간 서울 디큐브 링크아트센터에서 다시 선보였다. 이번 공연은 문화체육관광부의‘지역대표예술단체 육 성지원사업’에 선정된 지역 공립극단으로서 극단...
리뷰
글_조훈성(공연 칼럼리스트)
2025.05.01
종로 아이들극장에 어린이와 청소년으로 북새통을 이루자
극단 북새통 <오디세우스>어린이가 사라진다!한국 사회는 급격한 학령인구 감소와 출생률 저하의 시대에 접어들었다. 2024년 현재, 2000년대와 비교하면 학령인구는 절반에도 미치지 않는다. 동시에 고령 인구는 증가 추세에 있다. 이러한 인구 변화는 사회문화 전...
특집
글_남인우(극단 북새통 예술감독)
2025.05.01
우리가 생각하는 어린이와 연극
칠더하기(이하 우리)’는 4년 차에 접어든 어린이 연극 창작자 모임입니다. 우리는 2022년 당시 종로아이들극장의 예술감독이었던 김숙희 선생님의 제안으로부터 출발하였는데요, 그 내용은 어린이극에 대한 새로운 시도와 확장으로서 ‘다양성’과 ‘동시대성’이었습니다...
특집
글_칠더하기(강훈구, 김김현정, 원지영, 이지민, 정진새, 최유진)
2025.05.01
1
2
loading